전체 글 376

제네시스 4행시 이벤트

제 : 네시스가 또 물이 새네요네 : 현대차는 원래 그렇게 타는 겁니다.시 : 속 80km 에서도 에어백이 안터지네요스 : 스스로 호구 인정하셨네요 호갱님 제 : 기랄 또 급발진인데 회사에서는네 : 탓이에요 고갱님 억울하시면 4행 시 : 여기다 쓰시고스 : 타벅스 아메리카노나 마시던가 제 : 발 에어백 잘 터진다고 말해줘네 : 바퀴보다 중요한건 안정성이지시 : 한부 인생 선고받은 것처럼스 : 피드 좀 냈다고 죽고 싶지 않아 제: 대로 만드셨나요 이번 모델은? 네 : 바퀴 잘 굴러간다고 차는 아니잖아요시 : 간이 좀 지났으니 기대좀 해봐도 될까요스 : 출용이랑 내수용이랑 많이 다를까요 제 : 네시스 사행시는 왜했을까네 : 맘처럼 좋은 글만올라올줄 알았지시 : 장분위기가 어떤지 좀 봐라스 : 스로 무덤을 판거야

Clips/웃음 2014.02.11

자바스크립트기초 - 프로토타입

출처 : http://insanehong.kr/post/javascript-prototype/ Javascript 기초 - Object prototype 이해하기 소개이번 글에서 다룰 내용은 자바스크립트의 프로토타입 상속(prototypal inheritance) 이라는 확장과 객체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며 class 기반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는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지향적인 개발 개념을 가질수 있게 해주는 Prototype에 대한 내용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정공파가 아니면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않거나 이해 하기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 그이유는 Prototype Object 와 Prototype Link을 제대로 구분하여 인지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글을 통해서 ..

코드/JS 2013.12.06

컨텍스트, 스코프

출처 : http://devthewild.tistory.com/44 컨텍스트 vs 스코프 일단 명확히 해야할 중요한 것은, 컨텍스트와 스코프는 다른 것이라는 점이다. 부정확하게 두가지를 동시에 설명해서(?), 두 단어를 헷갈리는 많은 개발자들에게 지난 몇년간 이야기해왔다. 다시 말하자면, 단어 때문에 몇년동안 혼란스러웠던 것이다. 모든 함수의 실행은 스코프, 그리고 스코프와 연결된 컨텐스트를 갖는다. 근본적으로 따지자면, 스코프는 함수 기반이고, 컨텐스트는 객체 기반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스코프는 함수가 실행될 때, 그리고 각각의 실행에 대해서 그 함수의 접근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컨텍스트는 항상 this 키워드의 값이며, 현재 실행되는 코드를 "소유하는" 객체의 레퍼런스를 가리킨다.

코드/JS 2013.12.05

프로토타입 심화

원본글 링크: http://cafe.naver.com/hacosa?1310101133000 개요 자바스크립트는 이전 강좌에서 말한 것처럼 확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함수 기반 형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웹 기술은 나날이 발전 하고 있고 쇼핑몰의 장바구니,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통계 UI 등과 같은 인터랙티브 요소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자바스크립트와 그 확장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건 바로 프로토타입이다. Ajax과 최근에 대세(?)가 되고 있는 HTML5에 대한 관심이 방대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와 대규모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증폭시켰고, 이로 인해 확장성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졌다. 프로토타입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또는 클래스)는 ..

코드/JS 2013.11.26

숫자 3단위마다 콤마 삽임

// 숫자 타입에서 쓸 수 있도록 format() 함수 추가 Number.prototype.format = function(){ if(this==0) return 0; var reg = /(^[+-]?\d+)(\d{3})/; var n = (this + ''); while (reg.test(n)) n = n.replace(reg, '$1' + ',' + '$2'); return n; }; // 문자열 타입에서 쓸 수 있도록 format() 함수 추가 String.prototype.format = function(){ var num = parseFloat(this); if( isNaN(num) ) return "0"; return num.format(); }; // 숫자 타입 test var num = 1..

코드/JS 2013.11.21